DC Field | Value | Language |
---|---|---|
dc.contributor.author | 박광동 | - |
dc.contributor.author | 김명아 | - |
dc.contributor.author | 문흥안 | - |
dc.contributor.author | 김대용 | - |
dc.contributor.author | 유웅조 | - |
dc.date.accessioned | 2018-12-14T16:42:44Z | - |
dc.date.available | 2018-12-14T16:42:44Z | - |
dc.date.issued | 2014 | - |
dc.identifier.isbn | 9788966844944 | - |
dc.identifier.uri | https://repository.klri.re.kr/handle/2017.oak/4588 | - |
dc.description.abstract | Ⅰ. 배경 및 목적 □ 연구의 배경 ○ 한국은 2009년 11월 25일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: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) 개발원조위원회(DAC: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)의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○ 법제지식교류로서의 법제교류는 대상국가 등에 우리나라의 법제발전경험과 법령정보인프라 등의 지식정보의 공유·교류를 통한 상호간의 법제협력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게 됨 ○ 현재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간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체계와 관련하여 중복성과 분절화라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 □ 연구의 목적 ○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간의 협력체계의 구축방향과 합리적인 수행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Ⅱ. 주요 내용 □ 공공연구기관 ○ 사업규모 확대, 기관 간 협력관계 구축 및 중장기 비전·전략 통합, 전문가 양성 및 시장 창출, 전담부서 배치 및 제도적 기반 마련, 공동 협력사업 발굴 및 기획 필요 □ 법학대학 ○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의 발상의 전환, 생활밀착현 법제교류, 적극적 유학생 유치·지원정책과 부처 이기주의 극복, 국제개발협력 관련 법률전문가 양성 필요 □ 민간기관(경제관련기관) ○ 현지화 전략,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, 유·무상지원사업과의 연계, 공익적 관점에서의 법제교류 추진 필요 □ 중앙행정부처 ○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, 중복되지 않는 효율적인 집행체계 구축 필요 □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의 협력모형 ○ 법제교류협력협의회 구축을 통한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의 협력 필요 Ⅲ. 기대효과 □ 실질적인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의 협력 방안의 방향성 제시를 통하여 법제적인 측면의 신뢰외교 확보에 기여 □ 연구 결과에 따른 한국형 법제교류협력 방식에 대한 일정한 지침의 역할을 수행 | - |
dc.format.extent | 286 | - |
dc.language | kor | - |
dc.publisher | 한국법제연구원 | - |
dc.title |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의 협력 방안 연구 | - |
dc.title.alternative | The research on ways for cooperation among relevant legislative exchange institutions | - |
dc.type | Research Report | - |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 | 박광동 | - |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 | 김명아 | - |
dc.contributor.localId | 2007025 | - |
dc.contributor.localId | 2011052 | - |
dc.identifier.localId | 59907 | - |
dc.rights.accessRights | 원문무료이용 | - |
dc.subject.keyword | 개발원조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제교류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제교류협력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제교류협력지원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정비지원 | - |
dc.subject.local | 법제교류 | - |
dc.type.local | 법제교류연구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Park, Kwang Dong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Kim, Myoung-Ah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Monn, Heung-Ahn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KIM, Daeyong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You, woon Jo | - |
dc.description.statementOfResponsibility | 박광동; 김명아; 문흥안; 김대용; 유웅조 | - |
dc.description.tableOfContents | 제1장 서 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 16 제2장 공공연구기관의 국제교류 및 법제교류협력방안 19 제1절 일반적 현황 및 문제점 19 제2절 추진체계 및 기관별 현황 30 제3절 평가 및 개선방안 59 제3장 법학대학의 국제교류 및 법제교류협력방안 77 제1절 대학에서의 국제교류협력의 일반적 현황 및 문제점 77 제2절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국제교류협력 현황 86 제3절 평가 및 개선방안 106 제4장 민간기관(경제관련기관)의 국제교류 및 법제교류 협력 방안 139 제1절 일반적 현황 및 문제점 139 제2절 기관별 추진체계 및 기관별 현황 145 제3절 평가 및 개선방안 188 제5장 중앙행정부처의 의 국제교류 및 법제교류협력방안 197 제1절 일반적 현황과 문제점 197 제2절 기관별 추진체계 및 사업 현황 205 제3절 개선방안 237 제6장 법제교류협력 관련 기관의 협력모형 구축 243 제1절 지적 교류로서의 법제교류협력 243 제2절 분야별 협력 모형 269 참고문헌 279 | - |
dc.relation.isPartOf | 법제교류연구, 14-18-3 | - |
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, with all rights reserved, unless otherwise indicat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