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C Field | Value | Language |
---|---|---|
dc.contributor.author | 류지성 | - |
dc.date.accessioned | 2018-12-14T16:48:34Z | - |
dc.date.available | 2018-12-14T16:48:34Z | - |
dc.date.issued | 2016-08-31 | - |
dc.identifier.isbn | 978-89-6684-610-8 | - |
dc.identifier.uri | https://repository.klri.re.kr/handle/2017.oak/5037 | - |
dc.description | 1. 本院의 承認없이 轉載 또는 譯載를 禁함. ⓒ 2. 이 책자의 내용은 본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. | - |
dc.description.abstract | Ⅰ. 배경 및 목적 □ 연구의 배경 ○ 통일법제를 연구함에 있어서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및 정착에 관한 법제가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. ○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에 관한 법제는 향후 통일한국에서의 통합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주요한 잣대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지원하는 법제에 대한 전체적 평가를 필요로 함. □ 연구의 목적 ○ 우리 법제에서 북한의 법적지위를 재검토하고, 북한이탈주민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도 그 법적지위를 검증해 보고자 함. ○ 제3국에서 출생한 소위 ‘무국적 탈북아동’의 정착?지원에 관한 법제적 과제를 연구하고자 함. ○ 현행 법제상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지원체계 및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의 문제점을 탐색하여 정비방안을 마련하고자 함. ○ 현행의 북한이탈주민지원법 내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으나 발생하는 현실적 제문제에 관하여 법적 틀에서 검토하고자 함. Ⅱ. 주요 내용 □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와 관련하여 국내법 및 국제법(국제협약 등)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함. □ 현행법상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○ 현행 정착?지원제도의 개요와 문제점에 관한 분석 ○ 북한이탈주민지원법제의 변화에 관한 검토 □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○ 북한이탈주민의 국적조항 삽입에 관한 법제검토 ○ 북한이탈주민법상의 적용에 관한 보호대상자와 비보호대상자간의 구별의 적절성 검토 ○ 제3국에서 출생한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보호를 위한 법제검토 ○ 북한 및 외국에서의 학력 및 자격의 인정에 관한 법규정 검토 ○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법제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□ 법제적 과제 ○ 남북한의 관계에 관하여 법제적으로 미리 정립하여 담아둘 필요성이 있음. ○ 북한이탈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 가운데 신변노출 및 보호를 위한 법적 검토가 필요함. ○ 북한이탈주민의 재입북과 관련한 법적 쟁점과 해결방안의 모색이 필요함. Ⅲ. 기대 효과 □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법적지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법제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도록 함. □ 현행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의 전체상을 재검토하여 법적 공백과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함. □ 현행 법제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현실적 제문제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법제적으로 결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. | - |
dc.format.extent | 82 p. | - |
dc.language | kor | - |
dc.publisher | 한국법제연구원 | - |
dc.subject.classification | 북한, 통일 | - |
dc.title | 북한이탈주민 지원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| - |
dc.title.alternative |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ort Legisl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mprovement Proposals | - |
dc.type | Research Report | - |
dc.contributor.affiliatedAuthor | 류지성 | - |
dc.contributor.localId | 2015018 | - |
dc.identifier.localId | 62468 | - |
dc.rights.accessRights | 원문무료이용 | - |
dc.subject.keyword | 북한 | - |
dc.subject.keyword | 북한이탈주민 | - |
dc.subject.keyword | 북한이탈주민 지원 | - |
dc.subject.keyword | 제3국 출생 탈북자녀 | - |
dc.subject.keyword | 비보호 북한이탈주민 | - |
dc.subject.local | 북한이탈주민 | - |
dc.subject.local | 북한 | - |
dc.type.local | 통일법제 연구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Ryu, Ji-Sung | - |
dc.description.statementOfResponsibility | 류지성 | - |
dc.description.tableOfContents | 제1장 서 론 15 제1절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6 제2장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 17 제1절 북한의 법적 지위 17 제2절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 19 제3장 현행 제도상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지원체계 25 제1절 정착·지원제도의 개요 25 제2절 지원단계를 중심으로 한 체계 27 제3절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한 체계 36 제4절 「북한이탈주민지원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」의 현황 37 제4장 「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1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국적조항 41 제2절 비보호북한이탈주민의 발생 46 제3절 제3국에서 출생한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보호문제 50 제4절 학력 및 자격의 인정 59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지원 역량강화를 위한 법제 68 제6절 「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」의 추가 정비방향 72 제5장 결 론 77 참고문헌 81 | - |
dc.relation.isPartOf | 통일법제 연구, 16-22-① | - |
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, with all rights reserved, unless otherwise indicat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