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C Field | Value | Language |
---|---|---|
dc.contributor.author | 김일중 | - |
dc.date.accessioned | 2018-12-14T16:51:59Z | - |
dc.date.available | 2018-12-14T16:51:59Z | - |
dc.date.issued | 2008 | - |
dc.identifier.isbn | 9788983238610 | - |
dc.identifier.uri | https://repository.klri.re.kr/handle/2017.oak/5232 | - |
dc.description.abstract | ‘법경제학’은 여러 관련 경제주체들이 법, 제도, 정책 등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정확히 예측하고 또 그들을 평가하는데 각각 유익한 행동이론과 지침을 제공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. 이 글의 목적은 지난 반세기동안 축적된 법경제학의 가장 핵심논리들을 소개 및 재정립하고 주변의 매우 다양한 사례들에 일일이 적용해보임으로써, 법경제학이 실제로 ‘유익성’을 제공한다는 점을 보이려는데 있다. 특별히 이 학문에서 가장 핵심적 분석도구라고 할 수 있는 ‘재산권(property rights)’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한다. 왜냐하면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개별 실정법들은 사실상 ‘재산권법’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. 구체적으로 크게 다음의 세 가지 핵심주제를 탐구한다. 첫째, 현대 법경제학을 본격적으로 탄생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는 ‘Coase 정리’로부터 파생된 ‘최적 재산권 설정’의 문제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한다. 둘째, 이미 설정된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하여, 다양한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‘최적 구제방식들’을 분석한다. 셋째, 법집행의 실제 효과를 면밀히 예측하는 과정을 설명한 후, 이상 재산권 이론에 충실한 각종 입법의 목적을 제대로 담보하기 위한 실정법적 차원에서의 ‘최적 법체계’ 구성에 관하여 검토한다. 이 모든 논의에서 ‘Coase적 분석’이 매우 큰 설명력을 갖는다는 점이 부각될 것이다. | - |
dc.format.extent | 385 | - |
dc.language | kor | - |
dc.publisher | 한국법제연구원 | - |
dc.subject.classification | 재정, 경제 | - |
dc.title | 법경제학 연구: 핵심이론과 사례분석 | - |
dc.title.alternative | Research in Law and Economics : Essential Theories and Applications | - |
dc.type | Research Report | - |
dc.identifier.localId | 44735 | - |
dc.rights.accessRights | 원문무료이용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경제학 | - |
dc.subject.keyword | 재산권 | - |
dc.subject.keyword | Coase 정리 | - |
dc.subject.keyword | 거래비용 | - |
dc.subject.keyword | 경제효율성 | - |
dc.subject.keyword | 공정성 | - |
dc.subject.keyword | 상호성 | - |
dc.subject.keyword | 갈등 | - |
dc.subject.keyword | 구제방식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집행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체계 | - |
dc.subject.keyword | Coase적분석 | - |
dc.subject.keyword | 재산권 설정 | - |
dc.subject.keyword | 법의 효과 | - |
dc.subject.keyword | 입법평가 | - |
dc.type.local | 현안분석 | - |
dc.contributor.alternativeName | Kim, Il-Joong | - |
dc.description.statementOfResponsibility | 김일중 | - |
dc.description.tableOfContents | 제1장 서론 및 법경제학 일반론 13 제 2 장 재산권의 최적 설정 97 제 3 장 재산권의 최적 보호방식 185 제 4 장 법집행의 효과와 최적 법체계 277 참고문헌 363 | - |
dc.relation.isPartOf | 현안분석, 2008-31 | - |
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, with all rights reserved, unless otherwise indicated.